건강

[스크랩] 초석잠 재배법 종자판매

동풍 2015. 2. 10. 09:49

초석잠.효능과 재배법

 

 

 

 

 

 

 

 

 

 

 

 

 

 

 

 

 

 

 

 

 

 

 

 

 

 

 

 

 

 

 

 

 

초석잠의 효능

초석잠(草石蠶: Stachys sieboldii Miq. )은 중국이 원산지로서 이미
13세기에 재배가 시작되었으며 일본에서는 에도시대에 들어와
재배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초석잠(소우세끼상)을
한자로 천대여목(千代呂木) 또는 장로희(長老喜) 즉‘쵸로기’라고
부르는데, 오래 살고 늙지 않게 하며 기쁨을 주는 장수식품의 뜻을
전달하고 있다. 또는‘두루미냉이’‘장로목’이라고도 부른다.
중국어로는‘차오스산(cao shi can)’이라고 한다.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풀로 약 30~60cm로 자란다. 꽃은 자홍색이고
5월 중순 무렵부터 8월까지 가지와 줄기의 윗부분에 돌아가며
층층으로 핀다. 뿌리 부위는 구근처럼 보이는 괴경 부분으로
길이가 1~3cm로 고동모양이라고 기록되어있다. 괴경의 모양에
대한 설명은 중국은 누에, 일본은 고동처럼 나선형 조개모양이라
표현하고있다.또한 뿌리 부위는 말갛고 우유빛을 띤다.

다른 이름은 감로자(甘露子) , 적로(滴露) , 감로아(甘露兒) , 지잠(地
蠶) , 토충초(土蟲草) , 지고우초(地?牛草) , 지유(地紐) , 토용(土踊) ,
보탑채(寶塔菜) , 와아채(蝸兒菜) 등으로 불린다.

 

파종시기 와 파종방법

 

한줄심기 (80cm 이랑에 35cm )
두줄심기 (120cm 이랑에 40cm×40cm )로 하고
7cm~15cm 정도 깊이로 심어 준다.

토양은 배수가 잘 되는 사질토가 좋다. 파종은 4월10일~4월20일경
이랑에 7cm 깊이로 파고 2~3배의 두께로 흙을 덮는다. 심을때
반듯이 세워 심으셔야 새싹이 잘 올라 옵니다. 이때

방지를 위해서 검은 비닐로 멀칭 을 해준다. 6월경에 지상으로 30cm
높이로 자라며 초석잠은 8~9월경 꽃을 포함한 잎과 줄기를
채취한다. 뿌리는 10월중순 이후부터 다음해 3~4월까지
(싹이 발아하기 전) 아무때나 채취하는데 내한성이 강하여 노지
월동이 가능함으로 파종시기는 앞당기는 것이 유리하다.
초석잠도 꺽꽃이 재배가 가능합니다. 씨가 발아하여 줄기가 나오면
두 마디씩 잘라서 한 마디는 땅속에다가 묻고 한 마디는 지상으로
나오게 하여 심는 다음 땅 수분이 마르지 않게 촉촉하게 10일정도
관리를 하여 줍니다. 그다음 뿌리가 왕성 한걸 확인 한후에 옮겨
심기를 합니다. 그러면 대량 생산 및 화분에서도 키울수가 있어요.
옮겨 심고나서 물을 촉촉하게 주어야 합니다.

초석잠의 품종에 대한 논란
 
초석잠(草石蠶)은 누에를 닮은 약초라는 뜻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초석잠은 형태적으로 골뱅이형과 누에(새우)형 두종류로 구분하는데
수확량이 적고 채취작업이 까다로와 생산성이 떨어지는 골뱅이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생산성이 좋은 누에(새우)형을 전국적으로 대량
재배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느날부터
초석잠 진위논란이 온라인
을 뜨겁게 논쟁 을 펼친적이 있습니다. 아무튼 그과정에서 많은
자료와 그분들의 전국적인 현장검증 등 많은 노력이 있었습니다.
논쟁의 결과들을 제 나름데로 정리해본 결과입니다.그래서 지금까지
확인된 자료들을 소비자 여러분께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초석잠 관련 자료수집을 하면서 우리나라 농업행정의 비과학성과
무책임성을 목격하고 깜짝 놀랐습니다. 해당 군청 담당부서에
연락하여 지금까지초석잠으로 생산되어 전국에 대량 유통된
누에(새우)형이 틀림없는 초석잠이 맞느냐고 하였더니 그동안
농민들이 그렇게 불러서 별도의 사실확인 절차없이 그렇게 알고
있다가 최근에서야 실태를 재조사하고 지도감독을 다시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공식적인 입장을 요청하였더니 아래와 같은 답변을
보내왔습니다.

 

식물명

초석잠

쉽싸리(택란)

학명

Stachys sieboldii miq.

Lycopus luci연 lurcr

생약명

草石蠶(초석잠)

澤蘭(택란)

이명

감로자(甘露子),적로(滴露)

감로아(甘露兒),지잠(地蠶)

토충초(土蟲草),지고우초(地牯牛草),지유(地紐),토용(土踊), 보탑채(寶塔菜),와아채

(蝸兒菜)

소택란(小澤蘭),호란(虎蘭),

지과야목(地瓜兒苗),호포(虎蒲)

산란, 지삼(地參),지순(地筍)

개조박이, 지과인묘(地瓜人苗)

科(과)

꿀풀과

꿀풀과

개화기

5~6월

7~8월

효능

淸神(청신), 자양강장(滋養强

壯), 治心痛(치심통), 이오장

(利五臟),虛勞喘息(허로천식),

下氣(하기) 등

월경통, 월경불순, 요통, 자궁

질환, 고혈압, 중풍, 종기 등

근거

중약대사전

 

 

즉 산청군청 한방산업과의 입장은 골뱅이형을 초석잠으로 보고 있으며 그동안

누에(새우)형 초석잠으로 생산유통되었던 것은 택란으로 정리하여 새해부터는

골뱅이형만 초석잠 영농자 금을 지원해주기로 했다고 합니다.그러나

이 자료는 출처가 중약대사전임으로 국내학계에서 공식적으로 내린 결론은

아니라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그래서 행정안전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국가DB사업으로 구축한 국립수목원의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

산청군 한방산업과로부터 받은 자료에 명시된 두가지 학명을 각각 조사

해보았습니다.

 

추가적인 보충 질의사항에 대해서는 약 한달정도
시일이 흘렀지만 묵묵 부답입니다.

 

초석잠과 비슷한 식물로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석잠풀은 전세계 약
30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4개의 변종이 자라고 있다. 평안남도와
황해도에서 자라는 우단석잠풀 이 있석잠풀 , 개석잠풀 , 털석잠풀
있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거나 식용하며 흔히 초석잠의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중국의 중약대사전에서는 초석잠이 2종류가 나오는데 한가지는
골쇄보과의 식물인 원개음석궐의 뿌리줄기와 전초를 말하며,
넉줄고사리와 닮은 동명이종의 식물이다.

이상과 같은 조사 내용에 따라서 초석잠에 대해서 분명하게 알게된
사실은 초석잠의 공식 학명은 Stachys sieboldii Miq. 이며, 뿌리 모양은
골뱅이형이라는 것입니다.
그동안 적지않은 사람들이 초석잠으로 알고 있었던 누에(새우)형 역시
초석잠이라고 분류할수 있을것인지 또는 골뱅이형의 개량형인지 여부는
공식적인 기관에서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효사모 공동구매에서는 앞으로 누에(새우)형이 초석잠의 한
분류라는 공식적인 기관의 판정이 내려지기전까지는 골뱅이형만을
초석잠으로 중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누에(새우)형 초석잠으로 구매하여 발효액을 담으시거나
분말로 보유하고 계신분들께서는 음용하실때는 주효능 분야를
쉽싸리(생약명 택란)에 준하여 활용하실 것을 권장해드립니다.
약효는 알려진데로 초석잠은 뇌혈관질환등에 효능이 있고 택란은
여성질환에 효능이 있다고 문헌에 나와있습니다.

회원님들 혼동하시지 않기를 바라면서 … 여러가지 자료를 읽어보고
확인한 과정에서 얻은 결론입니다. 다른 의견도 있을수 있으며 …
논쟁하고자 올리는 글은 아니니 참고하시구요. 앞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제 개인의 의견입니다.

 

백과사전의 석잠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다년생초로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산과 들의 습지에 주로 분포한다. 연한 홍색의 꽃은 6~8월에핀다.
다음백과에 보면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체를 초석잠이라는 약재로
쓴다는 설명이 있는데요. 이는 잘못된 표현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석잠풀과 초석잠도 다른거라고 합니다. 따라서 석잠풀은
석잠풀, 초석잠은 초석잠 이렇게 정리가 되어야 맞는답니다.

 

백과사전의 쉽싸리(택란)

 

 

택란( Lycopus lucidus Turcz )은 꿀풀과 쉽싸리속의 뿌리줄기에
수염뿌리가 있는 자웅이주 초본식물이다. 연못가와 습지 근처에
무리져 자란다. 키는 1m에 달하고 원줄기는 네모지며 마디는 검은색
으로 흰샛 털이 있다. 땅속줄기는 흰색이고 옆으로 기며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를 가진다. 흰색의 꽃은
7~8월에 잎겨드랑이에 많이 모여 핀다.꽃받침과 꽃잎은 5장으로
길이가 비슷하며 수술2개는 꽃잎 밖으로 길게 나온다. 한국 전역에
자생하며, 일본ㆍ만주ㆍ중국에도 분포한다.우리나라에는 쉽싸리 ,
애기쉽싸리 , 개쉽싸리 , 털쉽싸리가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석잠풀은 초석잠과 같은 속 식물이지만 초석잠의 특징인
고동모양의 덩이뿌리가 없고 뿌리줄기에 수염뿌리가 있다. 연한
부분은 나물로 먹으며 여름과 가을 사이에 성숙한 잎을 이뇨제로
사용하거나 월경불순ㆍ요통 등 각종 부인병에 쓰기도 한다.

아쉽게도 아직 초석잠으로는 검색되는 공인자료가 없습니다.
하루빨리 연구논문이 정리되어  등록되면 논란이 사라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에는 석잠풀 , 개석잠풀 , 우담석잠풀 , 털석잠풀 등이 분포되어
있는데 모두 식용이가능하며 약용한다. 이창복씨의 <대한실물도감>
이영노씨<한국식물도감>그리고 한국자원식물연구소에서 발행한
<한국식물대보감>의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석잠풀 :효능은 해열, 해수, 폐렴, 태독, 활혈, 하혈, 종기 염증,
           진통, 경풍, 맹장염, 인후통, 창열이뇨, 미열, 몸이 붓는데,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 식용, 약용한다.

2, 개석잠풀 : 해열, 해수, 폐렴, 태독, 활혈, 하혈, 종기염증, 진통,
              정혈, 복통, 경풍, 맹장염,인후통, 식용, 약용한다.

3, 우담석잠풀 : 효능은 매장염, 해열, 해수, 폐렴, 태독, 정혈, 하혈
                종기 염증, 진정, 복통, 경풍, 식용, 약용한다.

4, 털석잠풀 : 해열, 해수, 폐렴, 태독, 활혈, 하혈, 종기 염증, 진정,
              복통, 경풍, 맹장염, 식용, 약용한다.
          
일본생약연구팀은“초석잠에 함유된 페닐에타노이드 배당체라는 성분이
근무력증ㆍ뇌경색ㆍ노인성 치매 예방과 기억력 증진에 효과가 있다.”
고 발표했다.
초석잠에는 페닐에타노이드ㆍ아르긴산ㆍ콜린ㆍ비타민B4 올리고당
함유되어 있다.특히 콜린은 혈액과 뇌장벽을 뚫고 들어갈 수 있는
특별한 물질이다.뇌세포에 직접 작용해 기억력 증진과 노인성
치매 예방에도 효과가있다고 한다.

 

초석잠 맛있고 효과있게 먹는법


☞ 초석잠 효소 만드는법

 

1, 초석잠뿌리는 5~6번 헹궈 묻은 흙을 깨끗이 씻어준 후 소쿠리에
  받쳐 물기를 완전히 제거 시킨다.

2, 용기는 전날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한다.

3, 물기를 뺀 초석잠뿌리는 잘게 썰어준다.

3, 용기에 초석잠-설탕-초석잠-설탕-초석잠 과같이 켜켜이 넣어준다.
  -초석잠에 설탕은 1 : 1 비율로 사용한다.
  -용기에는 초석잠- 설탕-초석잠-설탕-초석잠으로 반복하여
   전체 설탕중 6할을 사용 켜켜히 넣고 맨위에 설탕 4할을 사용
   마무리한다.

4, 맨위에 설탕을 두컵게 채워서 공기층을 없애준다.
  -녹지 않은 설탕덩어리를 자주 저어 없애준다.

5, 용기 입구를 한지나 면재료 천으로 덮고 고무줄로 동여 매준다
  -벌레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위를 막아 줍니다.

6, 담근 용기에 초석잠 효소 담근 날짜를 표시해 줍니다.

7, 숙성기간은 6개월간 숙성시킨다.

 

☞ 초석잠 차 만드는법

 

1, 초석잠을 깨끗하게 씻어 바람과 햇볕이 잘 통하는 곳에
   말린다.
2, 잘 건조시킨 초석잠을 물 2~3L에 초석잠 10~20g을 넣고
   20~30분 가량 약불에 서서히 끓여서 수시로 음용하면
   된다.(1일 2회)

 

☞ 초석잠 장아찌 만드는법

 

1, 장아찌를 담그려면 먼저 초석잠을 깨끗하게 씻어 물기를
   빼고 소쿠리에 받쳐 놓는다.
2, 물과 간장을 끓여 식힌 다음 식초와 약간의 발효액을 넣고
   혼합한다.
3, 물기를 뺀 초석잠을 그릇에 담고 혼합한 간장물을 붓는다.
4, 이때 자소엽이나 명감나무뿌리, 초피나무 잎과 열매를
   넣어도 좋다.

초석잠을 말린 다음 분말로 만들어 국수ㆍ빵ㆍ떡을  요리할
   때에 넣으면 좋다.
  -미숫가루ㆍ우유ㆍ요구르트 등에 타서 마셔도 된다.

천연 양념 재료로도 그만이다.

초석잠 생재를 셀러드로 만들어 막느다.

술에 술 량에  ⅓초석잠을 담는다. 6개월 후 부터 식후에
   한잔씩 마신다.

 

부작용

- 진기가 주산하니 허한 환자 는 신중히 복용한다.
- 임신부와 유산기 있는 분은 자궁을 수축시키는 성분이 있기
  때문에 피하시는게 좋습니다.

 

 

 

 

 

 

 

 

초석잠판매와 초석잠재배법 종자판매

 

 

초석잠이 이제 슬슬 마무리에 들어가는데요

마지막 초석잠을 판매합니다 서두루지 않으면 초석잠이 없을수도 있어요 많은 분들이 초석잠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데요

초석잠은 중풍.치매.뇌경색.혈액순환.기억력감퇴.장기능개선.오장을튼튼하게 하여 장수식품이기도 하며 중국에서는 고급식품으로도 각광받는 식품이기도 하며 먹는방법도 다양하여 생활에서 쉽게 복용할수있는 장점이 있기도 하며 맛도 단백하여 거부감 없이 누구나 즐길수 있어 아주좋은 건강식품이기도 한데요

이런 초석잠을 재배하시는 분들이 최근 늘어나는 추세이며

초석잠 재배에 관한 문의도 많이 오는데요 초석잠은 구근을 식용으로 사용하며 잎은 차나효소를 담기도 하는데요 잎부분을 너무 많이 잘라내면 구근의 수확량이 감소하니 주의하시면 되구요 재배시 유리한점은 두더지나 고라니등 들짐승이 건들지 않아 동물들의 피해가 없는 작물이기도 하며 특별한병충해도 없어 굿이 약을줄 필요도 없는 작물이라 무농약재배가 가능한 작물이기도 해요 초석잠은 마시토질의토양이 적합하며 찰진토양은 적합하지 않구요 봄에심어 초겨울에 수확하는 작물로 작기가 긴 작물이니 거름은 넉넉하게 넣어주시는것이 좋아요

 

초석잠에 대해 궁금 하신점은 언제든 문의 주시면 되구요

초석잠구매 초석잠종자구매 등은 언제든 연락주세요

초석잠가격은 1kg당 2만원 기본2kg부터 배송되며

대량구매는 20%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합니다

2kg 4만원

5kg 10만원

10kg 18만원

50kg 80만원

100kg 150만원 그외 대량구매는 가격조정해 드리며 문의전화 주세요

 

문의전화

010-6757-9835 이원배

골뱅이형 초석잠에 대한 관심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초석잠을 재배하시려는 분들께 나름대로 농사지은 경험담을 올립니다.

바우농장 www.baufarm.co.kr 입니다.

도움되시길


1.초석잠는 거름이 제법 필요한 작물이며, 동일장소에 연작은 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2.고랑은 60~70cm 정도의 폭으로  엇갈려 심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이 방식은 비닐멀칭을 했을경우입니다.

3.초석잠은 뿌리가 땅속을 헤집고 파고들며 퍼지는 습성이라 비닐멀칭이 초석잠의 활동을 저해하는 것처럼 보여집니다.
비밀멀칭을 하지 않은다면 잡초와의 전쟁을 해야 되거나, 다량의 제초제를 칠수 밖에 없는 현실에 부딪치는데, 고민이 아닐수 없습니다.

4.따라서 농사를  수확이 조금 적더라도 비닐을 씌우셔야 하는데... 바우농장에서는 고랑을 부직포로 덮고 초석잠이 자유롭게 옆으로 퍼질수 있도록 위는 덮지를 않았네요.... 그랬더니 풀이 지천입니다.
에공...


5.초석잠은 10cm 이내 깊이로 심고, 간격은 30cm이내면 좋을듯 합니다.

6.초석잠은 성장속도가  제법 늦습니다. ...풀이 더 빠르죠..그래서 수시로 제초작업을 해줘야 합니다만...무지 힘듭니다.
제초제 우리 치지맙시다.

7.꽃은 7월경부터 피는데,,,시도때도 없이 피었다 지기를 10월까지 합니다.

8.수확은 11월중순부터는 할수 있으나, 초석잠 잎과 줄기가 빠싹마를때까지 땅속의 초석잠이 자란다고 합니다.

9.수확방법은 손으로 일일히 캐면서 해야 하는데......초석잠 재배에 가장 힘든 단계이죠!

10.초석잠 또한 겨울을 나는 작물이라 이듬해 3월에 땅이 녹으면 수확할수 있습니다.

11.초석잠의 맛은 11월 수확한것이 가장 아삭하고 맛있습니다.

12.초석잠 병충해는 없는듯 합니다. 다만 줄기가 연약하고 키가 크게 자라지 않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가져온 곳 : 
블로그 >바우농장 돼지감자 초석잠 친환경농산물
|
글쓴이 : 바람처럼| 원글보기

 

 

 

초석잠 가격 초석잠 판매 효능 초석잠효능

초석잠이라 불린다. 초석잠은 치매 예방 외에도 뇌경색, 기억력 향상에도 효과적이다.

'초석잠'이 포털사이트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에 올랐다. 석잠풀로도 불리는 '초석잠'은 누에와 비슷하게 생겨 '땅속 누에

 

초석잠이라 불린다. 초석잠은 치매 예방 외에도 뇌경색, 기억력 향상에도 효과적이다.

'초석잠'이 포털사이트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에 올랐다. 석잠풀로도 불리는 '초석잠'은 누에와 비슷하게 생겨 '땅속 누에


'초석잠'이 포털사이트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석잠풀로도 불리는 '초석잠'은 누에와 비슷하게 생겨 '땅속 누에'라 불린다. 손가락 한 마디 크기로 작지만 영양이 매우 뛰어나다.
또 기억력을 높이고 치매와 뇌경색을 방지해준다. 뇌기능을 활성화해주는 콜린, 페닐에타노이드라는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어서다.
산과 들의 습지에서 자라는 이 식물은 한방에서는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체를 약재로 쓴다. 모양에 따라 골뱅이형과 누에형 등이 있다. 초석잠은 날것으로 갈아먹거나 술로 담아 마실 수 있다.
초석잠을 접한 누리꾼들은 "초석잠, 벌레같이 생겨서 왠지 안내키네", "초석잠, 초석잠으로 건망증 예방해야겠다" "초석잠, 애벌레같이 생겼네"

 

 

https://t1.daumcdn.net/cfile/blog/1579544B4DAAE12421

 

https://t1.daumcdn.net/cfile/blog/034E653750E186161C

 

영양소가 풍부하고, 다양한 효능을 지닌 약재인 초석잠은 특히 치매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음식으로 알려졌다. 생김새는 다슬기나 누에와도 비슷하다. 돌처럼 딱딱한 풀이 누에를 닮았다고 해서 초석잠

 

초석잠은 치매 예방 외에도 뇌경색, 기억력 향상에도 효과적이다. 뇌기능을 활성화시켜주는 콜린, 페닐에타노이드라는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어 노인성 치매나 뇌경색에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것

 

혈액순환과 면역력 증진의 효능이 뛰어나 꼭 치매질환이 아니어도 즐겨 먹기 좋은 건강식품이다. 예로부터 몸의 기혈 순환을 촉진시켜 일체의 관절염, 신경통, 마비증, 중풍, 유중풍, 전신골절통 등에도 좋다는 후문.

 

초석잠의 효능

초석잠(草石蠶: Stachys sieboldii Miq. )은 중국이 원산지로서 이미 13세기에 재배가 시작되었으며 일본에서는 에도시대에 들어와 재배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초석잠(소우세끼상)을 한자로 천대여목(千代呂木) 또는 장로희(長老喜) 즉‘쵸로기’라고 부르는데, 오래 살고 늙지 않게 하며 기쁨을 주는 장수식품의 뜻을 전달하고 있다. 또는‘두루미냉이’‘장로목’이라고도 부른다.
중국어로는‘차오스산(cao shi can)’이라고 한다.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풀로 약 30~60cm로 자란다. 꽃은 자홍색이고 5월 중순 무렵부터 8월까지 가지와 줄기의 윗부분에 돌아가며 층층으로 핀다. 뿌리 부위는 구근처럼 보이는 괴경 부분으로 길이가 1~3cm로 고동모양이라고 기록되어있다. 괴경의 모양에 대한 설명은 중국은 누에, 일본은 고동처럼 나선형 조개모양이라 표현하고있다.또한 뿌리 부위는 말갛고 우유빛을 띤다.

다른 이름은 감로자(甘露子) , 적로(滴露) , 감로아(甘露兒) , 지잠(地蠶) , 토충초(土蟲草) , 지고우초(地?牛草) , 지유(地紐) , 토용(土踊) ,보탑채(寶塔菜) , 와아채(蝸兒菜) 등으로 불린다.



초석잠 가격 초석잠 판매 효능

초석잠효능 초석잠파는곳 초석잠판매 초석잠의 효능 초석잠 가격 산청 초석잠 택란 초석잠 먹는 법 만물상초석잠 초석잠종자 초석잠농장 초석잠재배법 경남산청 초석잠 초석잠주 돼지감자 삼채 삼채모종 초석잠모종 하수오 초석잠씨앗 마카 삼채효능 초석잠종자판매 아피오스 초석잠 많은곳 초석잠사진

초석잠이라 불린다. 초석잠은 치매 예방 외에도 뇌경색, 기억력 향상에도 효과적이다.

'초석잠'이 포털사이트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에 올랐다. 석잠풀로도 불리는 '초석잠'은 누에와 비슷하게 생겨 '땅속 누에

 


 
초석잠은 생으로 드셔도 되고 장아찌, 샐러드, 각종 찌개에 넣어서 드시거나 밥에 얹어 드셔도 됩니다.

요구르트와 함께 갈아서 마셔도 되고 효소를 담으셔서 드셔도 되니 각종 요리에 맛있게 활용 해서 드시길 바랍니다.

출처 : 좋은 노래 문학 쉼터
글쓴이 : 신삿갓 원글보기
메모 :